나는 웃지도 성내지도 않고, 묵묵히 길을 걸었다.

어긋나거나 주저함도 없이.

그렇게 많은 것을 잊은척 하고 기억하려고 한다.

 

 

이번은 칠리크랩의 이야기이다.

싱가폴의 가장 유명한 음식은 칠리크랩chili crab이다. 다른 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게 요리임에도 불구하고 싱가폴을 대표하는 음식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자국의 문화'라는 것이 거의 없는 싱가폴에서 달리 눈에 띄는 게 없기 때문이다.

싱가폴의 문화 특징을 설명 할 수 있는 용어 중에 '페라나칸peranakan'이라는 것이 있다. 싱가폴에서는 주로 인도네시아인과 중국화교들과의 혼혈로 19세기부터 꾸준히 인도네시아와 부근 지역에서 살기 시작해 이제는 싱가폴의 다수로서 존재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싱가폴의 특징적인 혼합문화를 설명하는데 뺄 수 없는 존재들이다. 건축양식은 물론이고 가장 기본적인 식문화에 있어서도 그들의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데 칠리크랩이 말레이시아와 중국음식의 혼합이라는 면에서 싱가폴의 가장 싱가폴 다운 음식이 될 수 밖에 없었는지도 모르겠다.

칠리크랩은 신선한 레드칠리와 토마토 소스, 신선한 달걀, 파로 만든 그레이비를 곁들여 만든다. 걸죽한 양념과 함께 볶아내고 향초를 곁들인 커다란 게요리라고 할 수 있는데 매운 요리인 만큼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다. 토마토 소스의 영향으로 살짝 단 맛을 내는 이 요리는 어쩔 수 없이 손으로 먹게 되지만 손으로 먹는 것이 이 보다 잘 어울리는 요리도 드물다.
코리엔더 향이 약간 풍기는 소스에서 게 다리를 꺼내 껍질을 부순다. 살이 가득한 게살은 탄력이 가득하며 살짝 튀겨진 향초의 향이 콧속에 가득 퍼진다. 보통 추가적으로 시켜야하는 빵이나 볶음밥은 소스와 함께 먹기에 딱 좋다. 비싸기 때문에 먹기에 양이 부족하게 느껴지지만 먹다보면 배가 부르는 것과는 다른 만족감이 생겨난다. 매운맛과 껍질을 입에 물고 먹어야하는 게라는 요소 때문인지 금세 입이 얼얼해지며 만족하게 되는 것이 바로 이 칠리크랩이다.

유명한 가게로는 클락키의 점보가 있지만 점보는 관광객 상대의 가게로 싱가폴의 비싼 식당이 그렇듯 시간내에 식사를 마쳐야한다. 그것보다 추천하고 싶은 것은 이스트 코스트 시푸드 센터로 택시를 타고 가 그곳의 롱비치를 이용하는 것. 시푸드 센터 자체에 많은 해산물전문(정확히 말하자면 모두 칠리크랩이 메인인 가게)가게가 있지만 롱비치가 그중 가장 오래되었고 칠리크랩을 만들었, 아니 최소한 돈주고 팔기 시작한 가게로 소문이 나있다. 점보나 노사인보드 같은 가게도 물론 시푸드 센터에 입점해있다. 하지만 한국인 입맛에 가장 맞는 칠리크랩은 역시 롱비치. 맵고 자극적이다. 웨이트리스에게 한국인이란 걸 들키면 자연스럽게 가장 매운 (클래식도 있고 맵지 않은 것도 있다.) 칠리크랩을 추천해준다. 입가에 썩소를 짓고 가장 맵다는 칠리크랩을 먹어주도록 하자. 물론 그닥 맵지 않다 그래도 다 먹을 때 쯤엔 입술이 후끈거리는걸 피할 수 없다.

특이할 만한 점은 싱가폴의 가게는 기본으로 나오는 것이 없다는 점. 물티슈, 같이 나오는 땅콩 같은 것도 나중에 계산서를 확인해 보면 다 포함되어 있다. 물티슈야 칠리크랩을 먹는데 필수지만 땅콩은 맛도 없기 때문에 가지고 오자마자 필요없다고 돌려보내도록 하자.
롱비치에서 맛있는 것은 삼발깡콩이라는 야채 볶음. 빵을 시켜도 좋지만 세트로 책정되어 있는 메뉴를 먹으면 2인 메뉴 기준으로 키180이 넘는 남자 둘이 먹어도 배부르게 먹을 정도다.

또 주의해야할 점은 좀 비싼 음식이긴 해도 싱가폴 체류 중에 두 번 정도는 먹어주는게 좋다는 점. 맛있는 음식이지만 조금 비싸. 이렇게 생각되긴 하지만 한 번만 먹고 싱가폴을 떠나게 되면 꼭 생각나게 되어 있다. 두 번 먹어서 칠리크랩에 대한 미련을 싱가폴에 남기고 한국으로 돌아오자. 솔직히 정량은 두 번 반 정도라고 생각한다.
두 번 먹으면 조금 생각나지만 세 번 먹으면 조금 질리는 정도의 맛이다.

 

두 번 반. 오묘한 숫자다.

 

그 덕에 그 반만큼 나에겐 무언가가 남았다. 언젠가는 싱가폴로 돌아가야 할 지도 모르겠다.

아직은 아침으로 라면을 먹어도 괜찮은 소년. 불행하면 살이 찌는 이중고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2009년에 썼던 여행기를 블로그에 갱신 중이다.

여행기는 싸이 게시판에 써둔 것이다. 약 세달이 넘게 이어진 여행기로. 실은 '매일매일'썼다.
일부분은 저장을 하지 못해 연습장에만 써있고 일부분은 티스토리에는 게시하지 않으려고 한다. 내용은 하나도 대중없이 웃긴가 싶으면 우울하고 정보가 가득한가 하면 쓸데없는 내용만 들어가있다. 친구가 여행기라면 좀 더 내용이 충실해야하냐고 물어본적이 있는데 그런 읽으면 보람이 찬 여행기를 읽으려면 서점에서 돈 주고 사라고 말해주고 엉덩이를 발로 차버렸다.

지금 본인으로서도 뭘 올려야하고 올리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다. 초반부는 어떻게든 대부분을 다 실었지만 점점 글이 쉬르리얼리스틱해지고 저질스럽게 웃기게 된다. 특히 싱가폴 동물원에 대해서 쓴 동물원 3부작은 정말 웃기긴 하지만 정말 전위적이라. 이걸 일반에 공개해도 내 얼마 안남은 사회적 평판이 괜찮을지 고민이 된다. 
대작이지만, 제목도 이 따위이다.

1편: 아가씨는 내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묻는다.
2편: 호랑이는 우리 안을 배회한다.
3편: 당신을 정말로 사랑했지만, 안녕 곰아저씨 

궁금하다면 밑의 동물원 3부작 예고편을 읽어보자.

[1편 줄거리, 카레신사는 버스를 타고 동물원에 도착해 악어에게 아이스크림을 주는 양키 남자 둘을 발견한다. 그런 그는 8.9불짜리 피자 네개를 시켜 먹고 있는 양키를 보고 다시 한 번 분노. 동물원에 들어가자마자 기념품 점으로 향하는데….카레신사는 양키에 대한 이 풀지 못할 분노를 극복할 수 있을까?]

저게 도대체 무슨 소린지 알겠는가? 이런걸로 본편의 내용을 가늠해낼 순 없겠지만. 어쨌든 그 만큼 심혈을 기울여서 쓴 이야기라 티스토리에 올리려면 처음부터 다시 쓰지 않으면 안 될 것 같다. 
 누가 이런 걸 읽으면서 기뻐해줄 거라곤 생각 안하지만. 그래도 읽어주는 사람이 있다면 내가 기쁠 것 같다.

글을 쓰고 싶다. 더 많은 글을 쓰고싶다.


'부재증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1115] 야경증명  (0) 2011.12.01
[20111014] 기상증명  (0) 2011.10.14
[20110929] 촬영증명  (2) 2011.09.29
[20110927] 음료증명  (0) 2011.09.27
[20110924] 카레신사의 부재증명.  (0) 2011.09.24

이 글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 하고 싶다.

항상 쓰고 있는 다이어리와는 별개로 뭔가를 쓰고 싶었다. 여행기일 수도 있지만 여행의 이야기이기보다는 내 마음에 대한 이야기가 많으며 내키는 대로 농담을 쓰거나 조금은 복잡한 사고를 거쳐서 나온 이야기를 쓰기도 했다. 매일 날짜를 붙여서 그날 있었던 일과 관련된 일들을 쓰는건 그냥 그렇게 쓰는게 아무 맥락 없이 쓰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이다. 내 글 대부분이 그렇듯이 읽는 사람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으며 (읽는 사람도 거의 없다.) 내가 싸이 게시판에 썼던 다른 글 처럼 곧 비공개로 전환되어 내 기록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하지만 사실, 이 이야기는 내 답장이다. "세상"에 대한 답장. 결국은 글을 쓰는 것 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내가 보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고 언젠가는 결론을 지어야 할 삶의 어떤 '장'에 대한 이야기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은 처음장과 함께 마지막 장이 같이 쓰여졌다. 마지막 장의 제목은 "Long goodbye(기나긴 이별)"이며 익히 알려진 것과 같이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 시리즈 실질적인 최후의 작품이고 나는 이 작품을 내 이번 여행 가방에 쑤셔넣었다.


이 이야기의 결론은 이미 존재한다.

나는 이번 여행을 통해 뭔가를 배워가고 꺠달아가고 있다는 듯이 쓰고 있었지만 마지막 한 문장을 이미 정해놓고 그곳으로 나아가고 있었을 뿐. 내가 깨달은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어쩌면 나는 내가 어떤 외국생활을 하든지 결국에 어떤 흐름을 따라 한 결론을 낼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마지막 장은 지금 이 순간에도 내 마음속에서 계속 쓰여지고 있고 결국은 내가 준비해 놓은 마지막 한 문장과 동시에 내가 준비해 놓은 끝으로 진행되게 된다. 나는 결국 글쟁이이기 떄문에 끝맺음을 내지 못하는 이야기를 참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글 "인연"을 쓰면서 (원래 이번 글의 내용은 말레이시아 여행에 대한 농담이 될 예정이었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야기를 만들어 가듯, 인생을 만들어 갈순 없는게 아닐까. 신이 이야기를 만드는 방식은 나로선 읽을 수도 가늠할 수도 없는 것이어서 내가 하고 있는 짓은 자기 만족의 멍청한 짓이 아닐까.

적절한 갈등? 발단전개절정결말로 이어지는 매끄러운 이야기 흐름? 완벽하 결말? 인생에 그런게 있던가. 내가 맺고 싶어하는 그러한 형태의 끝맺음은 인생에는 없는게 아닐까. 어떤 이야기든 이야기가 되는 이유는 인생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지 인생 자체가 이야기가 될수는 없는 것인데 말이다.

나는 얼마 전 다시는 보지 못하리라 생각했던 사람을 우연히 다시 보게 되었다. 불교의 교리처럼 우리 인간들의 인연이란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끈질긴 것지도 모른다. 우리 인간의 힘으로는 끊을 수도, 이을 수도 없어서 삼생에 걸쳐서 이어지는 것이란 걸까. 나의 분노도, 사랑도, 노력도, 지혜도 모두 아무 의미 없는 것이라서 내가 이렇게 사랑하는 사람은 결국 전생에서도 사랑했고 후생에서도 사랑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나는 깨달음을 기다린다.
나 자신을 뛰어넘을 수 있는 꺠달음을 기다린다. 내 사고와 감정을 넘어서 앞으로 더 나아가게 해줄 깨달음을 기다린다. 내가 세계에 "답장"을 보낼 수 있게 해줄 그런 것을.

아직은 마지막 한 문장을 쓰기 전에 깨달음을 기다릴 시간이 조금 남아있다.
분명 그럴 것이다.

+ Recent posts